야구 중계에서 투수가 경기를 끝까지 책임지면 해설자들이 '완투승' 또는 '완봉승'을 언급합니다. 이 두 용어는 비슷해 보이지만, 투수가 세운 기록의 가치와 의미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은 야구 초심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완투(Complete Game)와 완봉(Shutout)의 정확한 정의, 성립 조건, 그리고 현대 야구에서 이 기록들이 가지는 의미까지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이 기록들을 이해하면 투수들의 위대한 투구를 더욱 깊이 있게 감상할 수 있습니다.

1. 🏆 투수 기록의 대명사: 완투승(CG)과 완봉승(SHO)의 정의
완투승과 완봉승은 투수가 경기를 끝까지 책임졌을 때 얻는 영광스러운 기록입니다.
- 완투 (Complete Game, CG):
- 정의: 선발 투수가 교체 없이 경기 시작부터 끝까지 던져 경기를 마무리한 것을 의미합니다.
- 성립 조건: 투수가 규정 이닝(대부분 9이닝) 이상을 던지며, 경기 종료까지 마운드를 지켜야 합니다. 연장전이나 우천 등으로 인한 단축 경기도 끝까지 던지면 완투로 기록됩니다.
- 완봉승 (Shutout, SHO):
- 정의: 완투를 하면서 동시에 상대 팀에게 단 1점도 실점하지 않고 승리한 것을 의미합니다.
- 성립 조건: 완투의 조건을 충족하고 (최소 9이닝 등) 0 실점을 기록해야 합니다. (자책점, 비자책점 모두 0이어야 함)
핵심 차이: 완투는 실점 여부와 무관하게 경기를 끝낸 기록이고, 완봉은 완투 + 무실점이라는 추가적인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2. 🔑 완투승과 완봉승을 가르는 결정적 기준: 실점 유무 비교
두 기록의 차이는 오직 '실점 여부'에 달려 있습니다. 이 기준에 따라 투수의 최종 기록이 결정됩니다.
| 기록 구분 | 실점 기록 (Runs) | 결과 판정 | 투수의 의미 |
| 완봉승 (SHO) | 0점 실점 (모든 실점 0) | 완봉승 기록 (완투승 자동 포함) | 지배력의 상징 (완벽한 제어) |
| 완투승 (CG) | 1점 이상의 실점이 있었으나, 경기를 끝까지 던져 승리했을 경우 | 완투승 기록 (완봉승 미포함) | 책임감의 상징 (팀 승리 기여) |
| 완투패/무 | 완투를 했으나 패배 또는 무승부로 끝났을 경우 | 완투 기록만 인정 | 체력과 내구력 (승리X, 경기 끝까지) |
예시 해설: 9이닝 3 실점으로 5대 3 승리 시 완투승이며, 9이닝 0 실점으로 1대 0 승리 시 완봉승입니다. 완봉은 완투의 상위 개념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가장 쉽습니다.
3. 📈 현대 야구에서 완투/완봉 기록의 가치 분석
과거와 달리, 투수의 투구 수 관리(투구 수 제한)와 불펜의 전문화로 인해 완투와 완봉은 매우 희귀하고 가치 있는 기록이 되었습니다.
- 전략적 가치 (불펜 관리): 완투를 기록하는 것은 중간 계투진과 마무리 투수들의 휴식을 보장해 주어, 다음 경기 운영에 큰 도움을 줍니다. 이는 팀의 시즌 전체 전략에 기여하는 전략적 가치가 매우 큽니다.
- 투수의 완성도: 완투를 위해 투수는 투구 수가 100개를 넘는 상황에서도 강한 체력, 뛰어난 위기관리 능력, 완벽한 제구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특히 완봉승은 상대 타선을 완벽하게 제어했다는 점에서 투수의 최고 완성도를 증명합니다.
- 희소성: 현대 야구에서는 선발 투수가 6이닝만 던져도 제 몫을 했다고 평가받기에, 완투와 완봉은 리그 전체에서도 손에 꼽히는 희소한 기록으로 팬들에게 큰 찬사를 받습니다.
완투승과 완봉승은 투수가 경기를 끝까지 책임졌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실점 여부에 따라 기록의 종류와 가치가 달라집니다. 완투가 '책임감'을 상징한다면, 완봉은 '지배력'을 상징하는 기록입니다. 이제는 중계를 들을 때, 이 둘의 차이를 알고 투수의 진짜 실력을 판단하며 경기를 훨씬 입체적으로 즐겨보세요!
더 많은 야구 기록이 궁금하시다면, 다음 글인 '야구의 기록지 작성법: 타점(RBI)과 자책점(ER) 계산 방법 완벽 정리'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