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야구 입문자를 위한 ‘보크(Balk)’ 쉽게 이해하기

by siestaplan 2025. 11. 9.

야구를 막 입문한 팬이라면 ‘보크(Balk)’라는 단어를 들어봤을 것입니다. 하지만 정확히 어떤 상황에서 보크가 선언되는지, 왜 파울이나 볼과는 다르게 여겨지는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보크투수가 규칙을 위반했을 때 선언되는 반칙으로, 주자가 있는 상황에서 매우 민감하게 작용하며 경기 흐름을 순식간에 바꿉니다. 이 글에서는 야구 입문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보크의 정의, 대표적인 5가지 상황, 그리고 실수 없이 경기 규칙을 즐길 수 있는 팁까지 상세하게 설명합니다.

야구 경기 중 마스크를 쓴 심판이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판정 신호를 보내는 모습

 


1. 🚨 보크(Balk)란 무엇일까? - 기본 정의와 심판 기준

보크(Balk)는 야구에서 투수가 정해진 규칙을 어겼을 때 선언되는 반칙입니다. 특히 주자가 있을 때, 투수가 타자 또는 주자를 속이거나 부정한 동작을 하면 심판이 즉시 보크를 선언하게 됩니다.

보크가 선언되면, 경기장에 있던 모든 주자는 한 베이스씩 진루하게 됩니다. 이 규칙의 핵심 목표는 투수의 기만적인 행동으로부터 주자 보호에 중점을 두며, 경기를 공정하고 예측 가능하게 진행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보크의 대표적인 기준은 투수의 ‘일관성 없는 동작’과 ‘기만하려는 의도’입니다.

  • 주요 기준: 정지 동작 없이 투구하는 경우, 투구 동작 도중 송구 방향을 바꾸는 경우, 루에 송구 의도 없이 투척 동작을 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 주의 사항: 특히 좌완 투수의 경우 1루 견제 시 보크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심판들도 주의 깊게 지켜봅니다.

초보자들은 이 규칙이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속이려는 행동이 있었다’는 핵심만 이해하면 보크 판정을 이해하기 쉽습니다. 보크는 투구 동작뿐 아니라 투수판(러버)을 벗어난 상태에서의 송구 등 다양한 상황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 투수가 보크를 범하는 대표적 5가지 상황 (가장 자주 나오는 사례)

입문자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부분은 실제 경기에서 보크가 선언되는 대표적인 5가지 상황일 것입니다. 아래는 경기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보크 선언이 자주 일어나는 주요 케이스입니다.

  1. 정지 동작 없이 투구 시작:
    • 투수는 세트포지션에서 반드시 ‘완전한 정지 동작’을 한 뒤 투구해야 합니다. 이 정지 동작 없이 바로 던지면 주자가 속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보크가 선언됩니다.
  2. 루에 송구하려는 척만 하고 실제로 던지지 않음:
    • 예를 들어, 1루 주자를 견제하려는 듯 몸을 틀었다가 다시 투구로 전환하거나 송구를 멈추면, 이는 기만적인 행위로 간주되어 보크가 선언될 수 있습니다.
  3. 투구 도중 송구 방향을 바꾸는 경우:
    • 투구를 하려다 갑자기 견제구나 다른 루 방향으로 송구 방향을 바꾸는 행동은 타자와 주자 모두를 혼란스럽게 하므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4. 투수판(러버)을 밟고 1루, 3루가 아닌 방향으로 던짐:
    • 투수판을 밟은 상태에서 투수가 견제구를 던질 때는 반드시 베이스를 겨냥해야 합니다. 아무도 없는 허공이나 엉뚱한 방향으로 던지면 보크입니다. (단, 2루는 견제 없이 던질 수 있습니다.)
  5. 과도한 시간 끌기 또는 부자연스러운 동작:
    • 주자를 견제하기 위해 투수가 과도하게 시간을 끌거나, 발을 떼는 동작이 일관성 없이 부자연스러울 경우, 심판이 투수의 의도를 의심하고 보크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보크 사례는 경기 흐름을 바꾸기도 하므로, 심판과 해설진은 투수의 동작을 아주 세밀하게 관찰합니다.


3. ✅ 보크를 쉽게 구분하는 팁과 실제 사례

보크를 완전히 이해하려면 규칙만 외우는 것보다 실제 사례를 통해 감각을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는 야구 입문자도 보크를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실전 팁입니다.

  • ① 투수의 ‘멈춤’ 유무를 확인하라:
    • 투수는 세트 포지션에서 반드시 잠시 멈춰야 합니다. 이 ‘완전한 정지’가 없다면 보크일 확률이 가장 높습니다.
  • ② 견제 시 ‘발 움직임’을 체크하라:
    • 투수판(러버)을 밟고 1루로 견제할 때, 투수는 반드시 발을 먼저 떼야합니다. 발을 떼지 않고 송구 방향을 바꾸면 보크입니다. 좌완 투수의 1루 견제 시 이 동작을 유심히 보세요.
  • ③ 심판의 보크 제스처를 익혀라:
    • 보크가 선언되면 심판은 양팔을 벌려 십자 형태로 표시합니다. 중계 화면에서 이 동작이 보이면 주자 자동 진루 상황이 된 것입니다.
  • ④ 반복 시청으로 판단 감각 익히기:
    • KBO, MLB 공식 유튜브 채널 등에는 보크 장면만 편집한 영상이 많습니다. 이런 영상으로 반복 학습을 하면 실제 상황에서도 보크 선언의 이유를 더 빠르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보크를 이해하면 투수의 움직임에 숨은 전략까지 읽을 수 있기 때문에, 경기 관전의 재미가 훨씬 높아집니다. 처음엔 어렵게 느껴지더라도, 몇 가지 패턴만 익히면 누구나 보크를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보크는 야구 규칙 중 가장 복잡하면서도 경기 흐름을 좌우하는 전략적인 요소입니다. 특히 입문자에게는 생소할 수 있지만, 몇 가지 대표적인 상황과 심판 판정 기준을 익히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야구 경기를 보며 투수의 동작에 주목해 보세요. 보크를 이해하게 되면 야구가 훨씬 더 흥미롭고 입체적으로 느껴질 것입니다.

 

더 많은 야구 규칙과 필수 상식이 궁금하다면, 다음 글인 ‘야구 점수판(스코어보드) 보는 법’도 기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