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런이 쏟아지는 시즌 혹은 투수들의 기록이 유독 좋은 시즌이 있다면, 이는 선수들의 기량뿐 아니라 야구 장비의 ‘반발력’에 큰 영향을 받은 것입니다. 배트와 공의 반발력은 타구의 비거리와 경기 결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야구 입문자를 위해 배트와 공의 반발력 개념, 측정 방식, BBCOR, 공인구 반발 계수 같은 과학적 규정들이 경기의 역동성과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분석해 드립니다.

1. 🔍 반발력이란? 야구에서 반발 계수(COR)의 의미
야구에서 말하는 ‘반발력’은 공이 배트에 맞았을 때 얼마나 잘 튕겨 나가는지를 수치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 반발력은 반발 계수(Coefficient of Restitution, COR)라는 과학적 수치로 표현됩니다.
1-1. 반발 계수(COR)의 과학적 원리
반발 계수(COR)는 물체(공)가 충돌(배트) 후 튕겨 나가는 속도와 충돌 전 속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 COR의 의미: 이 수치가 1에 가까울수록 에너지를 잃지 않고 완전히 튕겨 나가 비거리가 길어지고, 0에 가까울수록 에너지가 흡수되어 멀리 날아가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 영향 요소: 반발력은 공의 내부 코어 탄성, 실밥 높이 등 공 자체의 요인과 배트 소재와 구조에 의해 결정되며, 이 둘의 조합이 타구 속도와 비거리를 결정합니다.
2. 🏏 배트와 공 반발력의 규정 기준과 규제의 필요성
각 리그는 경기의 공정성과 선수 안전을 위해 공인 배트와 공의 반발력을 엄격하게 통제합니다. 규제를 벗어난 장비는 타고투저 또는 투고타저 현상을 심화시키거나, 아마추어 리그에서 투수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2-1. 공 반발력 규정 (COR)
KBO를 포함한 프로 리그는 공인구의 반발 계수(COR)를 특정 범위 내에서 엄격하게 관리합니다.
- KBO 기준 (예시): 공식 기준 COR은 0.4034 ~ 0.4234와 같이 매우 좁은 범위로 설정됩니다.
- 실제 사례 (KBO 2019): 2019년 KBO가 공의 반발 계수를 낮추자 리그 전체 홈런 수가 약 40% 급감하는 등, COR의 미세한 조정만으로도 리그 전체 기록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2-2. 배트 반발력 규정 (BBCOR)
대학 및 고교 야구에서 사용되는 금속 배트는 타구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 투수의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BBCOR(Batted Ball Coefficient of Restitution) 규정으로 성능을 제한합니다.
- BBCOR의 역할: BBCOR은 금속 배트의 성능을 전통적인 나무 배트의 성능 수준(0.50 이하)으로 제한합니다. 이는 배트가 타격 시 공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방식으로 반발력을 낮춥니다.
- 목적: 지나치게 반발력이 높은 배트를 제한하여 경기력의 균형을 유지하고, 투수가 타구에 맞아 부상당할 위험을 낮추기 위함입니다.
3. 📊 반발력 조정이 리그 기록과 전략에 미치는 영향
장비 규정은 단순한 수치가 아닌, 리그의 스타일, 선수 운영, FA 시장 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타고투저 vs. 투고타저:
- 고반발 장비: 홈런, 장타, 득점이 증가하며 타고투저 현상이 심화됩니다.
- 저반발 장비: 경기 결과가 투수 중심으로 이동하며, 투수의 삼진 능력이 더욱 부각됩니다.
- 선수 평가의 변화: 고반발 환경에서 기록한 성적은 과대평가될 수 있으므로, 저반발 환경에서 좋은 성적을 내는 타자가 진정한 실력자로 평가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 전술적 영향: 반발력이 낮으면 장타 위주보다 번트, 히트앤드런, 기동력 중심의 정교한 전술이 중요해지고, 반발력이 높으면 장타 위주의 중심 타선 구성이 유리해집니다.
배트와 공의 반발 계수(COR) 및 BBCOR 규정은 경기의 밸런스와 안전을 좌우하는 핵심 과학입니다. COR은 타구 비거리를, BBCOR은 투수 안전을 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제 야구 장비를 볼 때,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경기를 설계하는 과학적 기준으로서 그 가치를 새롭게 인식해 보세요. 다음 경기에서는 타구 비거리나 홈런 수에 주목하며, 그 배경에 있는 반발력 조정 이슈까지 함께 살펴보는 습관을 들이면 야구가 훨씬 더 입체적으로 보일 것입니다.
더 많은 야구 분석이 궁금하시다면, 다음 글인 ' 투수의 무기: 구속(Velocity)과 회전수(Spin Rate) '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