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에서 ‘클린업 트리오(3·4·5번)’는 오랫동안 팀 공격의 핵심이자 상징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메이저리그와 KBO를 비롯한 많은 팀들이 전통적인 클린업 중심 타선을 해체하고, 세이버메트릭스 기반의 OPS(On-base Plus Slugging)를 기준으로 타순 전략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 글은 전통적인 클린업의 의미와 그것이 무너진 이유, 그리고 현대 야구에서 OPS 중심의 타순이 어떻게 팀 득점 효율을 극대화하는지 구체적으로 분석해 드립니다.

1. ⚔️ 전통 야구의 공격 핵: 클린업 트리오의 역할
클린업 트리오는 3번, 4번, 5번 타자를 의미하며, 타점(RBI)을 쓸어 담는(Cleanup) 역할을 하는 타순으로 오랜 시간 팀 공격의 핵심이었습니다.
| 타순 | 전통적인 역할 | 요구되는 능력 |
| 3번 | 기회 창출 및 중심 연결 | 높은 타율, 출루율, 장타력 (만능 타자) |
| 4번 | 가장 확실한 해결사 (중심) | 가장 높은 장타율, 결정적인 클러치 능력 |
| 5번 | 보험 및 잔루 처리 | 장타력, 득점권 상황에서의 해결 능력 |
전통적 전략의 한계: 이 구조는 득점 기댓값 분석에서 비효율적인 부분이 많다는 점이 밝혀졌습니다. 특히 4번 타자는 경기 초반에 주자가 없는 상황에서 타석에 들어설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2. 🧠 클린업 해체의 원인: 세이버메트릭스와 OPS의 등장
2000년대 이후 세이버메트릭스(Sabermetrics)의 발전과 득점 기대치(Run Expectancy) 분석을 통해 기존 타순 전략의 비효율성이 입증되면서 클린업 트리오 중심의 공식은 해체되기 시작했습니다.
2-1. OPS (출루율 + 장타율)의 핵심 가치
세이버메트릭스는 타자의 출루율(OBP)과 장타율(SLG)을 합산한 OPS가 타자의 총체적인 공격 생산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지표임을 증명했습니다.
- 분석 결과: OPS가 높은 타자를 상위 타순에 배치할수록 팀 득점 기대치가 상승하며, 특히 3번보다는 2번 타순에 OPS 상위 타자를 배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데이터가 나왔습니다.
- 클린업 해체의 본질: 3·4·5번 중심에 강타자를 몰아두기보다는, 팀 전체 득점 기회를 높이는 방향으로 강타자를 상위 타순에 분산 배치하는 전략이 승률과 직결된다는 사실이 입증된 것입니다.
3. 🎯 OPS 중심 타순 구성의 실제 효과와 전략 변화
현대 야구 감독들은 타자들이 가장 많은 타석에 서는 기회와 득점권 상황을 결합하여 타순을 결정합니다. 이는 최고의 타자가 4번이 아닌 2번 타순에 배치되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3-1. 2번 타자의 지위 상승 (슈퍼스타의 배치)
세이버메트릭스 분석에 따르면, 2번 타순은 1번 타자(높은 출루율)가 출루했을 때 타석에 들어서 가장 득점 기대치가 높은 상황을 맞이할 기회가 많습니다.
- 현대의 2번 타자: 전통적인 '희생 번트' 역할 대신, 팀에서 OPS와 WAR가 가장 뛰어난 타자를 배치하여, 득점 기회를 극대화하는 '핵심 해결사'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예: MLB에서 무키 베츠, KBO에서 이정후, 손아섭 등)
- 전략적 효과: 1번부터 3번까지 강타자들이 이어지면서 상대 투수는 경기 초반부터 긴장감을 놓을 수 없게 됩니다.
3-2. 현대 야구의 타순 공식
| 타순 | 현대적인 역할 | 요구되는 능력 |
| 1번 | 출루율 극대화 | 팀에서 가장 높은 출루율 (OBP) |
| 2번 | 최고의 공격 생산성 | 팀에서 OPS가 가장 뛰어난 타자 |
| 3번 | 정확한 득점권 연결 | 2번에 버금가는 장타력과 컨택 능력 |
| 4번 | 강력한 장타 옵션 | 홈런 등 한 방을 가진 타자 |
이러한 전략은 득점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최고의 타자가 최대한 많은 타석에 나설 수 있도록 설계되어 팀의 득점력을 최대화합니다.
클린업 트리오 중심의 타순 전략은 이제 데이터 기반의 OPS 중심 타순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OPS가 높은 타자에게 더 많은 타석을 부여하고, 타순 간 위협을 분산시키는 전략은 득점력 향상과 직결됩니다. 야구팬이라면 '4번 타자가 최고의 타자'라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타순 구성의 전략적 변화와 그 배경에 있는 OPS 개념을 함께 이해하는 것이 현대 야구를 더 깊이 있게 즐기는 핵심입니다.
더 많은 야구 분석이 궁금하시다면, 다음 글인 '야구 장비의 과학: 배트와 공의 반발력 규정 분석'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