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수분석2

투수의 실력 지표: 스트라이크아웃 비율(K/9) vs 볼넷 비율(BB/9) 야구에서 투수의 실력을 평가할 때 ERA(평균자책점)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ERA는 수비나 운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투수가 직접 통제할 수 있는 요소인 삼진과 볼넷에 주목합니다. 바로 K/9(9이닝당 탈삼진 비율)과 BB/9(9이닝당 볼넷 비율)입니다. 이 글에서는 야구를 조금 더 깊이 알고 싶은 팬들을 위해 K/9과 BB/9의 개념, 계산 방식, 해석법, 그리고 실제 투수 평가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상세히 분석합니다.1. 🥇 구위의 지배력: K/9 (Strikeout per 9 Innings)란 무엇인가?K/9 (Strikeout per 9 Innings), 즉 9이닝당 탈삼진 비율은 투수가 9이닝 동안 평균적으로 몇 개의 삼진을 잡아내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2025. 11. 10.
투수 실력의 숨겨진 지표: ERA vs FIP 차이점, 계산 방법 및 투수의 '진짜 실력' 분석 야구는 단순히 승패만으로 평가하기 어려운 복합 스포츠입니다. 특히 투수의 실력을 평가할 때는 다양한 지표를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하는데,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ERA(평균 자책점)와 FIP(수비 무관 평균 자책점)입니다. 이 글은 야구 분석 초보자들을 위해 ERA와 FIP가 무엇인지, 각각 어떤 차이가 있으며 어떻게 계산되는지 자세히 설명합니다. 이 두 지표의 비교를 통해 투수의 '진짜 실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1. 🥇 투수 평가의 기본: 평균 자책점 (ERA)이란?ERA(Earned Run Average)는 투수를 평가하는 가장 전통적이고 대중적인 지표입니다. 투수가 9이닝당 평균적으로 허용한 자책점을 의미합니다.1-1. ERA의 정의와 계산 방법ERA는 투수가 허용한 총 자책.. 2025. 11. 10.